[니팅 프로젝트 후기] 겨울 머플러 만들기 – 실 선택부터 마무리까지, 직접 뜬 따뜻함
겨울을 준비하며, 머플러를 뜨기로 결심한 날 어느 날 아침, 유난히 바람이 매서운 날이었어요. 목을 감싸줄 머플러가 필요했지만, 그냥 사기보단 ‘올겨울엔 직접 만들어보자’는 생각이 들었죠. 뜨개질 입문 후 작은 소품만 만들다가, 드디어 실용성 있는 첫 아이템 에 도전하기로 했습니다. ‘니팅 머플러 프로젝트’의 시작이었어요. 실 고르기 – 따뜻함과 촉감 사이에서 머플러는 피부에 직접 닿는 만큼 촉감이 부드러워야 해요. 그래서 실 선택부터 신중했어요. 고민한 실 종류는 다음과 같아요: 울 100%: 보온성 최고지만 가려울 수 있음 아크릴: 저렴하고 가볍지만 정전기 발생 알파카 혼방: 부드럽고 따뜻하나 가격대 높음 면사: 촉감 좋지만 겨울용으론 보온력이 부족 결국 저는 울+아크릴 혼방사 를 선택했어요. 부드러움과 보온성의 균형이 좋고, 초보자가 뜨기에도 실이 잘 풀리지 않아 안정적이었어요. 색상은 무난한 진베이지와 카키 조합 으로 선택하고, 단색보다 배색 줄무늬 를 주기로 했습니다. 도안 없이 도전한 머플러 – 기본뜨기로 시작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는 ‘예쁘고 따뜻한 머플러’이지만, 초보자에게 너무 복잡한 도안은 부담이었어요. 그래서 도안 없이도 가능한 기본 겉뜨기(garter stitch) 방식으로 진행했어요. 처음 코잡기는 30코 , 길이는 약 140cm 를 목표로 했고, 실 두 타래 분량으로 계획했습니다. 처음엔 느리고 손도 아팠지만, 리듬을 타기 시작하면서 점점 속도 가 붙었어요. 저녁마다 틈날 때마다 뜨기를 반복하니 일주일 정도 걸려 완성했어요. 무언가를 ‘매일 조금씩 쌓아가는 과정’이 생각보다 성취감을 줬고, 어느새 뜨개질이 하루의 루틴 이 되었더라고요. 머플러 마감 – 완성도를 높이는 마지막 손질 머플러가 어느 정도 길어지고 실이 다 떨어졌을 때, 마무리할 시간이 왔어요. **코마금(Bind-off)**은 ...
댓글
댓글 쓰기
욕설,홍보성 댓글은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