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팅 프로젝트 후기] 겨울 머플러 만들기 – 실 선택부터 마무리까지, 직접 뜬 따뜻함

이미지
  겨울을 준비하며, 머플러를 뜨기로 결심한 날 어느 날 아침, 유난히 바람이 매서운 날이었어요. 목을 감싸줄 머플러가 필요했지만, 그냥 사기보단 ‘올겨울엔 직접 만들어보자’는 생각이 들었죠. 뜨개질 입문 후 작은 소품만 만들다가,  드디어 실용성 있는 첫 아이템 에 도전하기로 했습니다. ‘니팅 머플러 프로젝트’의 시작이었어요. 실 고르기 – 따뜻함과 촉감 사이에서 머플러는 피부에 직접 닿는 만큼  촉감이 부드러워야  해요. 그래서 실 선택부터 신중했어요. 고민한 실 종류는 다음과 같아요: 울 100%: 보온성 최고지만 가려울 수 있음 아크릴: 저렴하고 가볍지만 정전기 발생 알파카 혼방: 부드럽고 따뜻하나 가격대 높음 면사: 촉감 좋지만 겨울용으론 보온력이 부족 결국 저는  울+아크릴 혼방사 를 선택했어요. 부드러움과 보온성의 균형이 좋고, 초보자가 뜨기에도 실이 잘 풀리지 않아 안정적이었어요. 색상은 무난한  진베이지와 카키 조합 으로 선택하고, 단색보다  배색 줄무늬 를 주기로 했습니다. 도안 없이 도전한 머플러 – 기본뜨기로 시작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는 ‘예쁘고 따뜻한 머플러’이지만, 초보자에게 너무 복잡한 도안은 부담이었어요. 그래서 도안 없이도 가능한  기본 겉뜨기(garter stitch)  방식으로 진행했어요. 처음 코잡기는  30코 , 길이는 약  140cm 를 목표로 했고, 실 두 타래 분량으로 계획했습니다. 처음엔 느리고 손도 아팠지만,  리듬을 타기 시작하면서 점점 속도 가 붙었어요. 저녁마다 틈날 때마다 뜨기를 반복하니 일주일 정도 걸려 완성했어요. 무언가를 ‘매일 조금씩 쌓아가는 과정’이 생각보다 성취감을 줬고,  어느새  뜨개질이 하루의 루틴 이 되었더라고요. 머플러 마감 – 완성도를 높이는 마지막 손질 머플러가 어느 정도 길어지고 실이 다 떨어졌을 때, 마무리할 시간이 왔어요. **코마금(Bind-off)**은 ...

[뜨개질 입문 후기] 실 선택부터 기본 도안까지, 초보의 첫 코바늘 도전기

 




뜨개질을 시작하게 된 이유


평소에는 손으로 뭔가를 만드는 것보다 보는 걸 더 좋아하는 편이었어요. 

그런데 어느 날 퇴근 후 무기력하게 시간을 보내던 중,

유튜브에서 우연히 '초보 뜨개질 도전기' 영상을 보게 됐고, 

영상 속에서 집중하며 코를 하나하나 만들어가는 모습이 너무 인상 깊었어요.
“나도 저걸 해보고 싶다.”
이런 마음이 들었고, 곧장 준비물을 알아보기 시작했어요.




뜨개질 입문 준비물 – 실과 도구


입문자에게 가장 혼란스러운 게 바로 ‘어떤 실을 사야 할까?’였어요.
종류가 너무 많더라고요. 울사, 면사, 아크릴사, 혼합사까지…
검색과 커뮤니티 추천을 참고해서 저는 **중간 굵기의 면사(4ply)**를 선택했어요. 

초보가 실수해도 코가 덜 풀리고, 뜨는 도중 코가 눈에 잘 보여서 연습하기에 좋다고 하더라고요.

실 색상은 너무 화려하지 않은 베이지와 크림을 베이스로, 포인트로 연보라를 골랐어요.

실의 느낌을 보고 만져보는 게 중요해서 근처 문구점 겸 DIY 매장에서 구매했어요.

도구는 다음과 같이 준비했어요:

  • 코바늘 3.0mm (실리콘 손잡이)
  • 돗바늘
  • 실가위
  • 단수 표시링
  • 간단한 바느질 세트 (실 정리용)

도구 세트는 온라인에서 한번에 구매하면 저렴하고 빠르게 받을 수 있어요.




초보자용 도안 고르기


처음에는 너무 귀여운 인형이나 파우치를 만들고 싶었지만, 

욕심을 버리고 가장 기초인 원형 코스터 도안으로 시작했어요.

기본 도안은
사슬뜨기 → 짧은뜨기 → 빼뜨기
이 세 가지를 반복하는 방식이었어요. 

유튜브에서 설명이 잘 된 입문자용 영상을 함께 참고하면서 따라 뜨기 시작했어요.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알게 된 점은,
‘단순하지만 절대 쉽지는 않다’는 것이었어요.
코가 풀어지기도 하고, 몇 번이나 잘못 떠서 다시 풀었지만, 

그 과정이 오히려 집중하게 되고 스트레스를 날려주더라고요.




시행착오 속에 완성한 첫 코스터


뜬다는 행위 자체가 손에 익는 데 시간이 걸렸지만, 

몇 번 반복하다 보니 손의 리듬이 생기기 시작했어요.
첫 번째 완성품은 조금 울퉁불퉁하고 마감이 완벽하진 않았지만, 

제 손으로 직접 만든 첫 뜨개질 작품이라는 게 너무 감동이었어요.

커피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작은 원형 코스터 하나지만, 쓰임새도 있고, 

무엇보다 가족들에게 보여줬을 때 “이걸 직접 만들었다고?”라는 반응이 너무 뿌듯했어요.




입문자에게 드리는 작은 팁


뜨개질을 시작하면서 느꼈던 작은 시행착오를 공유해보자면,

  1. 실 선택은 코가 잘 보이는 면사로 시작하세요
    → 너무 미끄러운 실은 초보자에겐 어렵습니다.
  2. 영상 도안이 있는 자료를 고르세요
    → 글 도안은 초보에겐 진입장벽이 높아요.
  3. 작은 목표부터 정하고 완성해보세요
    → 성취감이 계속할 수 있는 동기를 만들어줘요.
  4. 완성품을 사진으로 남기세요
    → 다음 작품 만들 때 비교해보면 실력 향상이 보여요!




다음 목표는?


첫 코스터를 완성하고 나니 욕심이 생겼어요. 다음엔 귀여운 아미구루미 인형에 도전해보려고 해요.
너무 복잡한 건 아니고, 몸통 + 팔다리 정도의 간단한 인형 도안으로 연습해보려 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코바늘 인형 만들기 후기(아미구루미)”**로 찾아뵐게요.
저처럼 초보이신 분들도 함께 도전해보셨으면 좋겠어요!




📌 정리


  • 뜨개질은 ‘어렵고 오래 걸리는 취미’가 아닌,
    집중과 위로를 동시에 주는 일상 속 소확행이에요.
  • 실, 도구, 도안 모두 “내 손에 맞는 것”을 찾는 과정이 즐거움의 시작입니다.
  • 완성품이 예쁘지 않아도 괜찮아요. 그건 세상에 하나뿐인 내 손의 기록이니까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 도서관 속 작은 영화관: 무료 영화 보는 꿀팁!

⛽ 기름값 아끼는 운전습관과 주유비 절약 앱 TOP 5

월 1만원대 휴대폰 요금제 비교 총정리